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

중세 철학의 역사 이번에는 중세철학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부 철학 교부 철학(敎父哲學, patristic philosophy)은 이단에 맞서 교회의 이론을 세운 사람들의 기독교 신학을 바탕으로 하는 철학을 일컫습니다. 교부철학은 흔히 종교철학에서 다루어지는 한 분야이지만, 실제로 전문적인 연구는 주로 가톨릭 신학의 교부신학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교부철학과 교부신학은 연구 분야는 같습니다. 하지만 방법론, 특히 교부의 이론을 해석하는 데에 차이가 있습니다. 사상사적으로 교부철학을 총괄하는 경우에는, 초기의 그리스도교 호교가나 교부의 서적에 나타나는 철학적 요소를 가리키기 때문에 반드시 전기한 조건의 저술가에만 한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저술가는 본질적으로 철학자이기보다도 신학자였었으나, 그리스.. 2023. 3. 13.
고대그리스 철학의 역사 이번에는 서양 철학의 역사 중 고대 그리스 철학을 알아보겠습니다. 1.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문자 그대로 소크라테스 이전에 살았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을 뜻합니다. 이들은 흔히 고대 그리스의 자연 철학자라고 불리기도 하며, 또는 그들이 태어난 지방의 이름을 따서 이오니아, 엘레아 철학자 등으로 일컫기도 합니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은 그들 주위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해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신화적 해석을 거부했으며, 대신 좀 더 이성적인 해석을 내놓았습니다. 소크라테스 이전 사상에 대한 중요한 분석들은 그레고리 블라스토스, 조너선 번스, 고든 클라크 그리고 프리드리히 니체의 책 《그리스 비극 시대의 철학》에 의해 다루어졌습니다. 그들 대부분은 중요한 문헌들을 남겼다고는 하지만, 그 문헌들이 완성된 .. 2023. 3. 13.
철학의 어원과 대상, 고유문제 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세계와 인간의 삶에 대한 근본 원리 즉 인간의 본질, 세계관 등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철학적 방법이란 비판적 토론, 질문, 이성적 주장, 그리고 체계적 진술을 포함합니다. 또한 이성, 인식, 존재, 지식, 가치 그리고 논리, 언어, 윤리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말은 프로타고라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철학적 방법이란 비판적 토론, 질문, 이성적 주장, 그리고 체계적 진술을 포함합니다. 철학(Philosophy)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필로소피아(φιλοσοφία, 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유래하였는데, 여기서 지혜란 일상생활에서의 실용하는 지식이 아닌 인간 자신과 그것을 둘러싼 세계를 멀리서 관조하는 .. 2023. 3. 13.
지리학의 역사(2) 중세부터 현재까지 3. 중세 유럽 중세 유럽 때에는 많은 학문과 마찬가지로 지리학에서도 암흑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때 그리스인들이 믿고 있던 천체의 지구는 부정되고 기독교적으로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후퇴하였습니다. 오히려 이때는 중세에 업적을 남긴 것은 기독교 유럽 문명이 아니라 이슬람 문명 하에서입니다. 이 시대에 공통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시대의 지리학적인 업적은 역사와 사회 제도 등의 지리학 확대이며, 자연 과학에 따른 일반적 지리의 발전은 거의 없었다는 것입니다. 이 일반 지리의 발전은 이후 르네상스까지 없었습니다. 이슬람에서는 이븐 바투타 같은 대형 여행가가 나오고, 동부 아프리카에서 남부 러시아, 심지어 중국까지 세계관을 확장했습니다. 그들 이슬람 학자가 남긴 객관적인 세계의 묘사는.. 2023. 3. 12.
지리학의 역사(1) 바빌론, 그리스로마시대 지리학의 역사는 곧 지리학 발전의 역사입니다. 지리학의 근본적인 발상은 "남의 땅은 어떻게 되어 있는가?"입니다. 글로써 확인할 수 있는 지리학의 발상지는 고대 그리스입니다. 지리학은 학문으로서 철학과 동등한 인류 최고의 학문이었습니다. 1. 바빌론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세계지도는 기원전 9세기 고대 바빌론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지만 가장 잘 알려진 바빌론의 세계지도는 기원전 600년에 제작된 Imago Mundi 입니다. 이 지도에 쓰인 글귀에는 대양 바깥에 있는 7개의 지역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 중 5개의 지역에 대한 설명이 지금까지 남아있습니다. 에크하르트 웅거가 복원한 이 지도에는 아시리아, 우라르투와 몇몇 도시가 있는 둥근 육지에 둘러싸인 유프라테스강 위의 바빌론이 있습니다. 이 육.. 2023. 3. 12.
지리학의 분류와 기법 지리학을 분류할 때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고, 그 중 대표적인 분류법으로는 접근법 혹은 연구법에 따라 분류가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지리학을 분류하면 지역지리학과 계통지리학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지리적으로 접근해서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계통지리학은 그 주제 성격에 따라서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으로 분류합니다. 1.지역지리학 지역지리학은 지역을 종합적으로 보는 분야입니다. 크기나 규모에 상관없이 지구상의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지역지리학의 목표는 자연적, 인문적 요소를 이루는 지역을 이해하고 정의하는 것입.. 2023. 3. 10.
지리학의 정의와 동서양의 지리학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리학의 정의와 서양과 동양의 지리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지리학을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지표상에서 일어나는 자연 및 인문 현상을 지역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지리학의 첫 번째 관심 대상은 불규칙한 분포입니다. 지구에서 발견되는 사물들에는 다중성이 존재합니다. 사물의 다중성은 공간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포하는데, 바로 불규칙한 분포가 사물이 바로 지리적인 성격을 나타내게 합니다. 그리고 지리학의 다른 관심 대상은 상호관련성입니다. 예를 들어, 농업의 경우 농업과 연관된 기후, 토양, 인구, 경제적 조건, 기술력과 다른 조건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지 않으면 농업의 지리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이를 통해 미루어 볼 때, 지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질.. 2023. 3. 9.